펀드시황 상세
[6/13 국내] 새 정부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기대감에 한국 증시 상승 2025/06/13

새 정부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기대감에 한국 증시 상승

한 주간 국내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이재명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계속되며 상승하였다. 경기 부양을 위한 2차 추경과 주주환원 등을 위한 상법 개정 재추진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에 상승이 이어졌다. 환율 안정에 따른 외국인 수급까지 이어지며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였다. 
KOSDAQ 역시 새정 부의 증시 우호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상승했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3.84%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4.39%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기계업(11.06%), 건설업(7.57%), 종이 목재업(6.26%)이 강세를 보였고 전기가스업(-2.92%)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6월 13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4.20% 상승했다.


■ 국내 유형별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주식형		 3,671 	757,101		4.20 	12.79 	2.66 	23.98  	일반주식	 1,846 	120,063		3.67 	12.59 	8.27 	25.94  	중소형주식	 355 	11,501		3.93 	14.15 	7.61 	28.43  	배당주식	 295 	34,111		2.81 	11.42 	9.64 	22.34  	K200인덱스	 363 	207,758		3.72 	12.56 	7.88 	24.45  주식혼합형	일반주식혼합	 303 	26,336		1.80 	6.30 	4.55 	14.21  채권혼합형	일반채권혼합	 1,012 	80,682		1.03 	3.65 	5.63 	7.64  절대수익추구형	채권알파	 413 	13,768		0.17 	0.58 	3.75 	2.27  	시장중립	 100 	2,181		0.85 	3.13 	5.93 	6.88  	공모주하이일드	 215 	17,156		0.12 	0.46 	4.60 	2.40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3.67%, 중소형주식형 3.93%, 배당주식형 펀드는 2.81%, K200인덱스 펀드는 3.7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삼성KODEX코스닥150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20,453 	기타인덱스	11.45 	20.67 	25.35  NH-Amundi코스닥2배레버리지[주식-파생]ClassA	 82 	기타인덱스	11.40 	20.79 	25.75  미래에셋TIGER코스닥150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742 	기타인덱스	11.38 	20.54 	25.50  KBRISE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상장지수(주식-파생)	 815 	기타인덱스	11.16 	19.97 	25.63  한국투자코스닥두배로(주식-재간접파생)(A)	 15 	기타인덱스	11.14 	20.16 	25.11


국채금리 단기물 금리 상승 장기물 금리 하락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혼조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단기 금리는 소폭 상승하였고 장기 금리는 하락하였다. 미중 무역 회담 결과 큰 틀에서 합의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는데, 우리 국채 금리는 회담의 결과에 외국인 선물 매도와 미국채 금리 상승 등의 압력을 받으며 단기 금리가 상승하였다. 장기물의 경우에는 미국채 금리 하락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지난주보다 2.60bp 상승한 2.272%, 3년물 금리는 1.00bp 상승한 2.422%, 5년물 금리는 2.50bp 하락한 2.572%, 10년물 금리는 7.00bp 하락한 2.820%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6월 13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05%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 국내 채권형 유형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채권형		 1,316 	1,048,005	0.05 	-0.02 	4.65 	1.76  	일반채권	 574 	287,290	0.05 	-0.14 	5.87 	2.22  	초단기채권	 369 	587,593	0.03 	0.26 	3.46 	1.44  	중기채권	 178 	124,560	0.08 	-0.57 	6.54 	2.21  	우량채권	 195 	48,562	0.11 	-1.30 	7.20 	1.91  KAP채권지수(1년종합)				0.04 	0.27 	3.69 	1.60  MMF	MMF	 323 	1,726,967	0.03 	0.23 	3.25 	1.31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05%, 초단기채권 펀드는 0.03%, 중기채권 펀드는 0.08%, 우량채권 펀드는 0.1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KBRISE국채30년레버리지KAP상장지수(채권-파생)(합성)	 124 	일반채권	0.38 	-6.23 	2.57  KBRISEKIS국고채30년Enhanced상장지수(채권)	 4,360 	우량채권	0.25 	-4.17 	2.14  흥국초장기채플러스[채권-파생]C-f	 3,044 	일반채권	0.25 	-3.48 	0.00  흥국장기채플러스[채권-파생]C-i	 2,115 	일반채권	0.24 	-0.86 	2.37  키움KIWOOM10년국고채레버리지상장지수[채권-파생]	 328 	중기채권	0.23 	-2.93 	2.79

■ 국내 자금 동향

6월 13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1조 3,101억원 감소한 342조 8,984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1조 2,867억원 증가한 371조 9,739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585억원 감소한 17조 8,160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6,870억원 증가한 24조 2,274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3,307억원 증가한 47조 9,488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3,491억원 증가한 50조 391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13억원 감소한 1조 2,111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1,432억원 감소한 170조 1,201억원으로 집계됐다.


■ 국내 공모 펀드 유형별 자금 추이 펀드유형	펀드수	설정액			순자산액		 		'25.06.09	'25.06.13	증감	'25.06.09	'25.06.13	증감 주식형	3,402 	179,745 	178,160 	-1,585 	235,404 	242,274 	6,870      주식형 ETF	368 	405,539 	392,028 	-13,511 	516,243 	518,963 	2,720  주식혼합형	442 	26,198 	26,093 	-105 	30,389 	30,841 	452  채권혼합형	1,262 	66,463 	66,459 	-4 	75,675 	76,513 	838  채권형	1,246 	476,181 	479,488 	3,307 	496,900 	500,391 	3,491      채권형 ETF	96 	512,751 	512,655 	-96 	556,886 	556,989 	103  절대수익추구형	746 	29,303 	29,246 	-56 	34,117 	34,117 	0  부동산형	54 	12,124 	12,111 	-13 	7,529 	7,510 	-20  MMF	325 	1,702,632 	1,701,201 	-1,432 	1,728,653 	1,726,967 	-1,686  기타	170 	31,150 	31,543 	392 	25,076 	25,173 	97  국내 소계	8,111 	3,442,085 	3,428,984 	-13,101 	3,706,872 	3,719,739 	12,867

윗글 [6/13 해외] 미중 무역회담 큰 틀 합의 소식에 미국 증시 상승
아랫글 [6/5 해외] 트럼프 시진핑 통화 기대감에 글로벌 증시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