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시황 상세
[6/5 국내] 새정부 기대감에 코스피 상승세 2025/06/05

새정부 기대감에 코스피 상승세

한 주간 국내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KOSPI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한 가운데 새로운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며 상승하였다. 상법 개정안에 대한 기대가 이어지며 지주, 증권주가 크게 상승하였다.
KOSDAQ은 바이오, 2차전지 업종이 상승을 주도하였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3.77%의 상승세를, 코스닥 지수는 2.94%의 상승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증권업(16.96%), 보험업(9.29%), 건설업(5.49%)이 강세를 보였고 전기가스업(-1.02%)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6월 5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3.95% 상승했다.


■ 국내 유형별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주식형		 3,697 	736,618		3.95 	8.51 	-0.14 	17.07  	일반주식	 1,865 	114,789		3.74 	9.34 	5.73 	19.97  	중소형주식	 360 	11,085		4.05 	11.03 	5.43 	22.64  	배당주식	 295 	32,922		4.46 	9.97 	6.90 	17.77  	K200인덱스	 363 	202,829		3.84 	9.29 	4.60 	17.89  주식혼합형	일반주식혼합	 314 	25,859		2.06 	4.99 	3.68 	11.57  채권혼합형	일반채권혼합	 1,015 	79,586		0.79 	2.89 	5.21 	6.18  절대수익추구형	채권알파	 408 	13,850		0.09 	0.50 	3.76 	2.02  	시장중립	 100 	2,116		0.87 	2.49 	5.80 	5.94  	공모주하이일드	 208 	16,772		0.06 	0.46 	4.60 	2.25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형 펀드는 3.74%, 중소형주식형 4.05%, 배당주식형 펀드는 4.46%, K200인덱스 펀드는 3.8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삼성KODEX증권주증권상장지수[주식]	 1,112 	기타인덱스	16.43 	30.24 	62.09  한화PLUS태양광&ESS상장지수(주식)	 106 	기타인덱스	15.60 	30.11 	73.88  미래에셋TIGER증권증권상장지수(주식)	 141 	기타인덱스	13.28 	20.55 	48.43  미래에셋TIGER지주회사상장지수(주식)	 386 	기타인덱스	10.06 	33.95 	44.74  미래에셋TIGER200에너지화학상장지수(주식)	 211 	기타인덱스	8.86 	13.72 	15.40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제동에 국채 금리 상승

한 주간 국내 채권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다.
국내 채권금리는 미국 법원이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에 제동을 걸며 미국채 금리가 상승한 것에 영향을 받아 중장기물 위주로 상승하였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후 추경이 예상되며 확장 재정 정책에 대한 반응으로 금리가 상승하기도 하였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지난주보다 -0.20bp 하락한 2.246%, 3년물 금리는 7.20bp 상승한 2.412%, 5년물 금리는 10.20bp 상승한 2.602%, 10년물 금리는 13.20bp 하락한 2.892%로 마감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6월 5일 오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27%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 국내 채권형 유형 평균 수익률 및 순자산액 대유형	소유형	 펀드수 	순자산액	수익률			 				1주일	1개월	1년	연초후 채권형		 1,291 	1,040,919	-0.27 	-0.24 	4.79 	1.66  	일반채권	 548 	282,304	-0.45 	-0.48 	6.07 	2.09  	초단기채권	 370 	586,545	0.07 	0.25 	3.49 	1.38  	중기채권	 178 	123,432	-0.89 	-1.17 	6.92 	2.03  	우량채권	 195 	48,637	-1.66 	-2.39 	7.73 	1.65  KAP채권지수(1년종합)				0.05 	0.26 	3.71 	1.52  MMF	MMF	 323 	1,690,265	0.05 	0.22 	3.27 	1.26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 펀드는 -0.45%, 초단기채권 펀드는 0.07%, 중기채권 펀드는 -0.89%, 우량채권 펀드는 -1.6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국내 채권형 펀드 주간 성과 상위 TOP5 펀드명	순자산액	소유형	수익률		 			1주일	1개월	연초후 삼성코리아초단기우량채권자 1[채권]_Ci	 897 	초단기채권	0.11 	0.35 	1.76  NH-AmundiHANARO머니마켓액티브상장지수(채권)	 763 	초단기채권	0.09 	0.28 	1.46  교보악사내일환매초단기우량채[채권]ClassS-P	 7 	초단기채권	0.09 	0.36 	1.80  우리WON전단채플러스액티브상장지수(채권)	 1,823 	일반채권	0.09 	0.30 	1.66  신한초단기채[채권](종류C-s)	 2 	초단기채권	0.09 	0.29 	1.53


■ 국내 자금 동향

6월 5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5,554억원 증가한 340조 3,227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3조 943억원 증가한 365조 3,981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486억원 감소한 17조 9,877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7,142억원 증가한 23조 2,423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3,775억원 증가한 47조 3,323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순자산액은 2,618억원 증가한 49조 3,613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7억원 감소한 1조 2,124억원으로 집계되었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2,133억원 증가한 166조 6,302억원으로 집계됐다.


■ 국내 공모 펀드 유형별 자금 추이 펀드유형	펀드수	설정액			순자산액		 		'25.05.29	'25.06.05	증감	'25.05.29	'25.06.05	증감 주식형	3,404 	181,363 	179,877 	-1,486 	225,280 	232,423 	7,142      주식형 ETF	371 	405,555 	405,797 	241 	489,603 	507,805 	18,202  주식혼합형	442 	26,249 	26,201 	-49 	29,658 	30,215 	556  채권혼합형	1,267 	66,445 	66,372 	-73 	74,651 	75,230 	579  채권형	1,236 	469,548 	473,323 	3,775 	490,994 	493,613 	2,618      채권형 ETF	96 	512,005 	512,873 	868 	557,350 	556,751 	-599  절대수익추구형	746 	29,309 	29,298 	-10 	34,059 	34,103 	43  부동산형	54 	12,131 	12,124 	-7 	7,526 	7,530 	4  MMF	326 	1,664,169 	1,666,302 	2,133 	1,688,882 	1,691,266 	2,384  기타	168 	30,898 	31,060 	162 	25,033 	25,046 	13  국내 소계	8,110 	3,397,673 	3,403,227 	5,554 	3,623,037 	3,653,981 	30,943

 

윗글 [6/5 해외] 트럼프 시진핑 통화 기대감에 글로벌 증시 상승
아랫글 [5/30 해외] 연방 법원의 상호관세 제동에 미국 증시 상승